목차
1. NAT 이란?
- 네트워크 클래스 A,B,C란?
- 서브넷이란?
2. VPC 란?
3. ELB 란?
- Elastic Load Balancer V.S. Classic Load Balancer
- NLB (Network Load Balancer)
- ALB (Application Load Balancer)
1. NAT 이란?
- 네트워크 클래스 A,B,C란?
IPv4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약자로 일반적으로는 이 프로토콜에서 end point 장치의 IP를 가르키는 말로 쓰인다. IPv4는 5개 클래스가 있고 D,E는 멀티캐스트용, 연구용 으로 쓰인다. (멀티 캐스트란? 링크) IPv4는 총 32 bit로 구성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2^32 약 40억개(4G)의 고유 번호를 가질 수 있다.
A클래스는 1로시작하고 앞 8개가 네트워크 주소, 나머지 24개가 호스트 주소: 2^24 개
B클래스는 10로시작하고 앞 16개가 네트워크 주소, 나머지 16개가 호스트 주소: 2^16개
C클래스는 110로시작하고 앞 24개가 네트워크 주소, 나머지 8개가 호스트 주소 : 256개
A->B->C 로 갈 수록 네트워크 주소 범위에 사용될 공간은 작지만 그 공간에 포함하는 호스트 IP 개수는 커진다.
A를 예로 들면 네트워크가 0~127개 사이 중 하나의 값을 가지면서 그 네트워크 안의 호스트 IP는 네트워크 당 16M-2개를 가질 수 있다.
- 서브넷이란?
SubNet를 번역하면 부분망이라는 뜻으로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눠쓰는 부분 네트ㅋ워크를 의미한다. 예를 들면 C 클래스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256개의 주소를 2개의 subnet으로 나눠 각 128개씩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.
/8: 네트워크 첫 주소부터 16M개
/16: 네트워크 첫 주소부터 64K개
...
/25: 네트워크 첫 주소부터 128개
내가 사용하는 IP는 현재 아래와 같다 앞의 세 개는 아파트 공용이므로 39가 나를 특정할 수 있는 IP라고 할 수 있다.
http://jodies.de/ipcalc?host=1.225.70.39&mask1=20&mask2=&help=Help : sub/ super net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오픈소스
- NAT이란?
Network Address Translate의 줄임말.
2. VPC 란?
- VPN(Virtual Private Network) 란?
기존의 네트워크가 아래의 회색 네모였을 때, A,B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면 새롭게 공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인터넷 네트워크인 VPN을 만들어서 특정 집단의 네트워크를 다시 만들 수 있다. 실제로는 회색 모양으로 네트워크가 짜져있지만 논리적으로 다른 네트워크인 것처럼 동작한다. 이를 '가상 사설망'이라고 부른다.
이렇게 원하는 모양대로 네트워크 망을 짜는 것 처럼 AWS의 다양한 서비스들, 인스턴스들을 원하는 네트워크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. 이것을 클라우드에서 구현한 것을 VPC(Virtual Private Cloud) 라고 한다. 각 VPC는 완전히 독립된 네트워크처럼 작동한다.
AWS에서 EC2를 만들면 공인 IP 주소로 접근해 사설 IP주소로 바뀌는 라우터를 통해 각 EC2에 접근하게 된다.
이 VPIC와 서브넷, 라우팅 테이블은 VPC 서비스의 사이드바에서 확인할 수있다.
이렇게 각 EC2에 연결되는 공인 IP와 사설(내부망) IP는 다음 두 가지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다.
공인IP: curl ifconfig.me
사설 IP: ip addr | grep -A 2 eth0:
서브넷을 살펴보면 하나의 VPC 아래 C 클래스 IP가 4개 있다.
사이더 값이 /20이므로 32비트 중 앞에서부터 20번째 비트 이후에 오는 옥탯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
다시 말해 172 (8자리) 31(8자리)그리고 앞 4자리까지는 고정이 되어있고 그 이후자리부터 전부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
그러므로 아래 서브넷은 순서대로
172.31.32.0~172.31.47.255
172.31.0.0~172.31.15.255
172.31.16.0~172.31.31.255
172.31.48.0~172.31.63.255
의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. 여기에서 서브넷츨 우가하면 이 이후 네트워크를 서브네팅 할 수 있다.
[AWS] 가장쉽게 VPC 개념잡기
가장쉽게 VPC 알아보기
medium.com
'AWS_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032. AWS ELB(로드밸런서): 서버작업 부하분산 (0) | 2021.11.09 |
---|---|
#024. AWS Lambda 람다 서비스에 대한 이해 (0) | 2021.11.04 |
#017. AWS 서비스(3): 컴퓨팅 (0) | 2021.10.22 |
#015. 간단한 AWS 서비스 종류(2) (0) | 2021.10.22 |
#014. 간단한 AWS 서비스 종류(1) (0) | 2021.10.22 |